Posts

[Anaconda Spyder] Error: You have missing dependencies! (rtree)

  Error: You have missing dependencies! rtree>= 0.8.3: None (NOK) Please install them to avoid this message. Note: Spyder could work without some of these dependencies, however to have a smooth experience, we strongly recommend.     업데이트가 필요해서 업데이트하니까 dependency 에러 실화냐 다른놈들은 다 헛소리만 하거나 걍 재설치하라는데 킹갓짜장형이 도와주셨다.   Linux sudo apt install libspatialindex-dev   Windows 10 conda install -c conda-forge libspatialindex conda install -c conda-forge rtree   정말 이거 한줄로 바로 고쳐졌다..ㅠㅠ 감격... https://blog.csdn.net/HaoZiHuang/article/details/110798922

[Ubuntu Server LTS 18.04] unable to correct problems you have held broken packages 에러 (nvidia driver)

휴.. 진짜ㅠㅠ 짜즁나.. 겨우 됐다. $ sudo dpkg --configure -a && sudo apt update --fix-missing && sudo apt install -f && sudo apt full-upgrade 하고 reboot 해준 후 $ sudo ubuntu-drivers autoinstall 하면 바로 고쳐짐... 요즘 스택오버플로우가 나한테 도움을 안준다.. 참조 : https://itectec.com/ubuntu/ubuntu-cant-install-nvidia-driver-430-on-ubuntu-18-04-dell-inspiron-15-5000-gaming-duplicate/

[Ubuntu Server LTS 18.04] jupyter notebook 외부접속 설정 브라우저로~~

 jupyter notebook 외부접속 설정 $ jupyter notebook --generate-config 로 config파일 생성. $ ipython In [1]: from IPython.lib import passwd In [2]: passwd() Enter password: Verify password: Out[2]: 'sha1:블라블라블라' Ctrl + z 로 나와주고 SHA1으로 암호화된 패스워드를 sha1부터 복사해놓는다. 나는 각 계정마다 생성해줘야해서 tmux를 이용해 개인 계정으로 들어가서 만들었당.. 처음에 만들어둔 config 파일에 몇가지 설정을 넣어준다. $ sudo vi /home/개인계정/.jupyter/jupyter_notebook_config.py 이제 주석들이 짱짱 많은 파일이 열리는데, 일일이 주석을 풀고 넣어주기 귀찮아서 난 그냥 맨 위에 필요한 설정들을 싹 적어넣었다. c = get_config() c.NotebookApp.allow_origin = '*' c.NotebookApp.ip = '0.0.0.0'     <- 어떤 ip든 다 들어올수있게 설정. nameservice로 도메인을 붙여놔서.. (이거도 엄청나게 힘들었는데 몇십시간 하고나서 정리하려고 보니까 이미 내 머릿속에서 지워져있더라..ㅠㅠ) c.NotebookApp.port = 7629     <- 내가하고싶은포트넘버 c.NotebookApp.password = 'sha1:블라블라블라'     <- 아까 복사해둔 SHA1암호 저장하고 나와서 $ jupyter notebook 으로 실행시켜주면 끝~~! 브라우저에서 접속해보자.

[Ubuntu Server LTS 18.04] "Could not acquire name on session bus" 에러 (feat. xrdp, mate)

리눅스를 거의 처음 접해보는데 이걸 서버로 만들어야해서 엄청난 고생을 하고있다.. GUI버전으로 만들어서 원격접속을 가능하게 해야하는데 이걸 또 어떻게 하지? 구글링 구글링.. 이것저것 깔고 지우고 붙이고 떼고 포멧하고 다시깔고 우여곡절.. 사실 다른사람들은 엄청 쉽게 바로바로 하는거같은데 나만 삽질하느라 이렇게 힘든거같다.. 내가 다운받은 프로그램은 xrdp, xorgxrdp, mate 이고 얘네를 아래 명령어를 차례대로 써서 받았다. $ sudo apt-get install xrdp $ sudo apt-get install -y xorgxrdp $ sudo apt-get install taskesel $ sudo apt-get update $ sudo tasksel install ubuntu-mate-desktop $ sudo apt-get update $ sudo apt-get install mate-core mate-desktop-environment mate-notification-daemon $ sudo sed -i.bak '/fi/a #xrdp multiple users configuration \n mate-session \n' /etc/xrdp/startwm.sh $ service xrdp restart $ sudo reboot 요렇게 해서 윈도우 원격접속을 했눈뎁... 오지게 떠버리는 " Could not acquire name on session bus " !!!!!!!!!!!!!!!!(나쁜말 심한말)!!!!!!!!!!!!!!!! 구글링 중간중간 나오던 솔루션 /etc/xrdp/startwm.sh 파일 맨 밑에 test -x /etc/X11/Xsession && exec /etc/X11/Xsession exec /bin/sh /etc/X11/Xsession 얘네를 #으로 주석처리하고, unset DBUS_SESSION_BUS_ADDRESS exec mate-session 얘네를 붙이라는 글이 ...

[Python/Anaconda3/QT 오류] This application failed to start because it could not find or load the Qt platform plugin "windows"

하ㅠㅠ 별.. 진짜.. 너무 짜증..ㅠㅠ 갑자기 spyder가 안켜져서 anaconda prompt로 이것저것 해봤는데 pip install pyside가 안됐다. 또 한참 찾아보니 파이썬 3.5 이상이면 pyside2 를 받으면 된다고한다. 그래서 받았는데 또 안돼! 대신 오류메시지가 달라졌다. This application failed to start because it could not find or load the Qt platform plugin "windows 기타등등" Reinstalling the application may fix this problem. 정말 엄청난 구글링과 이짓저짓..      QT_어쩌고 하는 환경변수도 설정해보고 했는데 다 안되고 얘가 됐다 흑흑흑흑....흑흑..... 진짜 힘들다.. 내가 2년 전에 데이터사이언스 연습해본다고 받았던 파이썬과 오늘 Anaconda3 받으면서 같이 받아지는 파이썬 버전이 다른데 받아지면서 수정이 덜 됐었나보다. Anaconda3\Library\plugins\platforms 안의 dll파일들 마지막 수정일이 2년 전이었다. 그래서 아까 새로 받은  pyside2의 dll파일을 복사해서 붙여넣었더니 해결됐다 ㅠㅠ 흑흑흑 힘들었다..   If you are running PyQt5 and PySide2, this solved the problem for me: Copy the following files: \Anaconda3\Lib\site-packages\PySide2\plugins\platforms\qminimal.dll \Anaconda3\Lib\site-packages\PySide2\plugins\platforms\qoffscreen.dll \Anaconda3\Lib\site-packages\PySide2\plugins\platforms\qwindows.dll to: \Anaconda3\Library\plugins\platforms\ https...

논문 잘 읽는 법(feat. Papers with code)

  효율적으로 논문을 읽는 방법 Three-Pass 1. 논문에 대한 일반적인 아이디어를 아는 단계 2. 논문의 디테일보다 전체적인 내용을 잡는 단계 3. 논문을 좀 더 깊게 이해하는 단계 1. 첫번째 pass 첫번째 pass는 논문의 전체적인 느낌을 알기 위해 빠르게 스캔 하는 것 -> bird-eyes view : 새가 높은 하늘에서 땅을 바라보는 것 같이 디테일이 아닌 전체적인 형상을 보는듯한 느낌 - 5~10 분 정도 1. 논문의 제목, abstract, introduction 을 주의해서 읽어라. 2. 섹션과 작은 섹션의 제목을 읽되, 다른 것들을 무시해라. 3. 밑에 깔려있는 이론적 바탕을 알기 위해, 수학적인 내용을 확인해라. 4. conclusion 을 읽어라. 5. Reference를 한 번 훑어보고, 이미 읽은 부분을 체크해라. 이러한 첫번째 pass과정이 끝나면 스스로 다음과 같은 질문을 해보자. 1. Category : 이 논문은 어떤 성격의 논문인가? 존재하는 시스템에 대한 분석이냐? 평가냐? 아니면 연구 프로토타입에 대한 설명인가? 2. Context : 어떤 논문과 이 논문이 연관성이 있는가? 논문에서 제시한 문제를 설명하기 위해 어떤 이론적인 베이스가 사용되었나? 3. Correctness : 논문에서 제시한 가정이 유효해 보이는가? 4. Clarity : 논문이 잘 쓰여졌나? 잘 정의된 내용은 논문의 초록과 서브섹션을 주의 깊게 읽어보면 쉽게 전체적인 내용을 알 수 있다.  2. 두번째 pass 두번째 pass에서는 논문을 좀 더 주의 깊게 읽되 증명과 같은 디테일한 부분은 무시하면서 읽는다. 키워드 를 쓰거나 논문의 여백에 comment 를 남긴다. 1. 논문의 그림과 다이어그램, 그리고 일러스트레이션을 주의깊게 보자. 특히 그래프에는 더 많은 집중을 쏟아야 함 - x축과 y축이 어떤 의미를 갖고, 적절히 할당되었는지, 결론이 통계적으로 잘 나타나 있는지 확인. 2....

[점심밥 - 수원 팔달문/화성행궁] 엄마생각

Image
수원 팔달문/남문로데오/향교로 점심밥 대탐험 점심먹고 매일 행궁산책을 하면서 다음엔 뭘 먹어볼까 매의 눈으로 식당들을 둘러본다. 산책하기 너무 좋고 먹을게 참 많아서 좋다. 나의 깐깐한 눈으로 선택받은 가게 중 하나. 엄마생각이다. 가게이름 흑흑 슬퍼 근데 먹어보니 이유가 있었다. 진짜 여긴 집밥갬성이다. 조미료 맛으로 자극적인 음식이 아니고 진짜 엄마가 집에서 해주는 느낌으로.. 그런거 먹으면 건강에 안좋아! 엄마가 해주는 음식 먹어~ 하면서 해준 그런 맛 반찬들도 메인 메뉴도 진짜 흑흑 너무 내 스타일. 우리는 왕돈까스와 김치 짜글짜글(찌개?) 을 시켰다. (아쉬운 점은 메뉴판 사진에 왕돈까스가 세 장 이었는데 나온건 두 장.. 대신 크기가 다르겠지! 배불렀음) 너모 배고파서 메뉴는 못찍음..ㅠㅠ 버섯전골, 불고기전골, 비빔밥, 제육볶음, 치즈떡볶이 등을 판다. 가격은 6000원~17?000?원? 기억이..;;ㅎㅎ 또 먹으러 갈거당.. 점심밥 대탐험 요즘 계속 성공해서 정말 재밌다.

[점심밥 - 수원 팔달문/화성행궁] 한꽃담 - 한우로 꽃 핀 만두

Image
수원 팔달문/남문로데오/향교로 점심밥 대탐험 갑자기 다들 분식이 땡겨서 매일 산책하면서 한번은 가봐야지~ 했던 새로운 분식집을 가기로 했다. 외관도 소소하게 예쁜것이 맛집의 스멜이 났기 때문이다. 메뉴에는 없지만 그냥 라면은 3000원, 계란라면은 3500원이다. 우리는 계란라면 차돌라면 김밥 한우만두(고기3 김치3 총 6개) 요로케 네 개 시켜서 먹었다. 헐 미르스띤 대존맛; 까지는 아닌데 오? 헐 마싯다!!! 이런 맛집이랄까? 한우만두는 익숙하지않은 독특한 향이 있었지만 맛있었고 김밥도 속이 꽉 차서 좋고 아 차돌라면은 쫌 존맛탱이다. 여기 진짜 김치 취저였다. 사장님이 직접 담그시는듯. 다 먹고 커피도 하나 타주셨다 ㅎㅎ 엄청나게 친절하시고 솜씨좋으신 사장님. 다음번엔 떡볶이랑 오뎅 먹으러 가봐야겠다. 추천합니다~~

[Spring Boot] jsp파일에서 application.properties 값 바로 사용하기!!!

한국어로 구글링해서 나온 글들은 다 도움이 안돼서 stackoverflow에서 찾은 답 ㅠㅠ 흑ㅎ그 application.properties 파일 spring.servlet.multipart.max-request-size=128MB jsp 파일 <%@ taglib prefix =" spring " uri =" http://www.springframework.org/tags " %> < spring : eval expression =" @environment.getProperty('spring.servlet.multipart.max-request-size') " var =" maxReqSize "/> console.log("${maxReqSize}"); 이렇게 쓰면 콘솔에는 128MB가 찍힌다. 구글 블로그 코드 예쁘게 적는법좀 찾아봐야지 진짜 구글블로그 별루양..

[점심밥 - 수원 팔달문/교동] 신당명가 교동본점

Image
수원 팔달문/교동/향교로 점심밥 대탐험 다음부터는 식당가서 메뉴판도 찍는 습관을 들이는게 좋겠구나.. 김밥 2천원부터. 비싸봐야 6천원. 엄청 저렴 셀프바에 반찬이 정말 많고 맘껏 먹을 수 있다. 밥도 먹고싶은만큼 퍼가면 된다. 위생이 쪼오끔 떨어지긴 하지만 음식 맛도 괜찮고 가격도 핵 저렴! 모든 메뉴들이 평타 이상 친다. 주인분들도 친절하시다. 기분 좋은 한 끼 추천!

[점심밥 - 수원 팔달문/교동] 대박집

Image
수원 팔달문/교동/향교로 점심밥 대탐험 대박정식 가격 1인당 1만 원. 2인부터 주문 가능 흑미밥 나오고 더덕구이, 불고기, 청국장, 기본찬 간장게장과 단호박 꿀절임?? 빼고는 반찬 리필 가능하다고 함 진심 이 동네에서 가장 가성비 갑! 핵존맛에 핵푸짐하고 특히 이렇게 맛있는 간장게장 처음 먹어봐요 여수에서 먹은거보다 맛있는듯. 맛없는거 없음 다 맛있음 강추

1998년도 구룡초등학교 재학생을 찾습니다.

Image
1998년 서울 구룡초등학교에 재학중이던 학생들은 어디에서 동문회를 하고있나요? http://kids.donga.com/?ptype=article&no=20199811120008 98년에 타입캡슐을 묻고 꺼내는 날이 2020년인 줄 알았는데 19년도에 날짜를 보러 찾아가보니 18년도 11월이었습니다. 이런.. 구룡초에 전화해봤는데 동문회에 연락하랍니다. 동문회는 자기들도 모른답니다. 인터넷을 아무리 뒤져보아도 동문회는 찾을 길이 없습니다. http://kuryong.sen.es.kr/40811/subMenu.do?nttId=16467121 연락을 할 생각은 있었을까요? 졸업생 일동은 누구일까요? 학교는 공립이고 해결하기 귀찮으니 대충 졸업생 일동인 척 하고 글 올리고 상황을 종결 지은 것 같습니다. 언제 다시 만나자는 날짜도 없고. 타임캡슐에 들어있는 물건이 나에게 너무 소중해서 꼭 돌려받고싶은데 옛날 사람이라 그런지 이 좋은 시대에 이런 불편함을 겪을 수 밖에 없구나.. 연락처를 모아 학교에 찾아가보려고 합니다. 늦었지만 혹시 이 글을 보고 계시는 구룡초 졸업생이 있으시다면 꼭 댓글 부탁드립니다.

[STS + Gradle + jsp] http://www.ibm.com/webservices/xsd/j2ee_web_services_client_1_1.xsd 에 관한 오류

Referenced file contains errors (http://www.ibm.com/webservices/xsd/  j2ee_web_services_client_1_1.xsd). For more information, right click on the message in the  Problems View and select "Show Details..." [Show Details 부분] The errors below were detected when validating the file "j2ee_web_services_client_1_1.xsd" via the file "web.xml". In most cases these errors can be detected by validating "j2ee_web_services_client_1_1.xsd" directly. However it is possible that errors will only occur when j2ee_web_services_client_1_1.xsd is validated in the context of web.xml. gradle 프로젝트 삽질 ing... 프로젝트 완성 후 서버를 돌리면 자동으로 web.xml을 생성한다. 왜인지 이유는 차차 찾기로 하고.. 근데 이 xml파일에서 이상한 에러가 난다. 정보도 거의 없었다.. 흑흑 그러다가 2007~2008년 쯤 올라온 글들에 답이 있었다. 이게 왜 지금 나한테 나는걸까..? Window -> Preferences -> XML -> XML Catalog -> XML Catalog Entries 박스 -> User Specified Entries 클릭 후 Add 버튼 -> Add XML Catalog Element 창 -> Catalog Entry 안에 Location: http...

Gradle Project Import Error - org.gradle.tooling.BuildException: Could not fetch model of type 'GradleBuild' using Gradle distribution blah blah..

gradle project import 할 때 난 오류. 정말 이것 저것 많이 해보고 결국 해결해서 실험도 몇 번 한 뒤 올리는 글.. 매우 개인적인 환경때문에 일어난 일이다. org.gradle.tooling.BuildException: Could not fetch model of type 'GradleBuild' using Gradle distribution 'https://services.gradle.org/distributions/gradle-5.6.4-bin.zip'. 1. 이 오류는 Market Place - Spring Tools 3 Add-On for Spring Tools 4.3.9.12.CI 를 install 하니 잡혔다. >> 내 경우엔 전에 개발되어있던 코어에 덧붙여 프로젝트를 생성한거라 STS 3이 필요했을 수 있다. An internal error occurred during: "Launching SoftenReporterServer - SoftenReporterServerApplication". Model not available for SoftenReporterServer 2. Spring Tools 3 Add-On for Spring Tools 4.3.9.12.CI 을 install 하고 나니 첫번째 오류는 잡혔지만 서버가 안올라갔다. >> 이 오류도 예전 개발 환경에서 개발되어 jdk 1.7을 바라보는데 내 환경이 jdk 13 이어서 jdk 13 안에 있는 1.7을 보는 바람에 버전 문제가 생겼던거였당.. 내일은 웨때무네 gradle build만 하면 web.xml에 오류가 나는지를 꼭 찾아서 고쳐야지..

내가 쓰는 STS4 플러그인

STS오류가 너무 많이 나서 지웠다 깔았다 반복했더니 뭘 깔아야하는지 자꾸 헷갈려서 적어둠. Eclipse Java EE Developer Tools 3.15 Minimalist Gradle Editor 1.0.1 Spring Tools 3 Add-On for Spring Tools 4.3.9.11.CI

STS/이클립스 Java Virtual Machine Launcher 오류 (ini파일, jdk 수정해도 안될때)

Image
Error: Could not create the Java Virtual Machine. Error: A fatal exception has occurred. Program will exit. STS가 너무 여러가지로 말썽을 부려서 그냥 싹 날리고 다시 깔았는데 exe파일 켜자마자 오류가 뜨면서 이클립스를 안켜준다. ++ 이런 오류 설명까지. 뭐라는건지 몰라서 구글링으로 찾아봤다. ini파일에 -vm설정하거나 jdk다시 받으라고해서 이것저것해도 안되어 포기하려던 찰나에 사장님께 cmd창에서 자바버전 확인해보라는 팁을 받고 확인해봤는데 java -version과 javac -version이 달랐다..........참나.......... 이거가지고 어제 밤새고 오늘도 다 날렸는데....ㅠㅠ 하 이런 삽질 나중에 다시 안하려고 적어둔다.. 두개 버전이 다를때는 환경변수-시스템변수-PATH에서 JAVA_HOME path를 맨 위로 올려주면 해결된다.

처음 접해보는 PostgreSQL

맨날 오라클로만 해보다가 처음으로 PostgreSQL를 쓰는데 다른점이 너무 많아서 찾아둔거 적는다.. 얘는 테이블명 앞에 꼭 스키마명을 적어줘야한다.휴 https://blog.azulpintor.io/entry/schema-access-settings-three-ways-in-postgresql#solution3 여기에 보면 세가지방법이 있는데 난 어차피 한개의 스키마만 쓸거라 영구적 세팅을 해주려고 postgresql.conf 파일을 찾았는데 없댄다 어이무.. 어쩔 수 없이 set search_path to schema,public; 로 일시적인 세팅을 했다. 그리고 자꾸 릴레이션이 없다고하질않나 컬럼이 없다고하질않나 검색해봐도 잘 안나오더라.. 내가 알아낸건 이녀석은 쿼리문에서 대소문자구별을 하는거같다. 난 분명 대문자로 테이블이랑 컬럼 만들었는데 소문자로 생성되었다. 그래서 소문자로 적어주니까 데이터가 들어간다. 참고로 컬럼명은 더블쿼테이션("), 들어갈 데이터(문자)는 싱글쿼테이션(')을 사용해서 명시해줘야 들어간다. 참 까다로운놈이다..

React Native Android - react-native start 시 오류

error Invalid regular expression: /(.\fixtures.|node_modules[]react[]dist[].|website\node_modules.|heapCapture\bundle.js|.\tests.)$/: Unterminated character class. Run CLI with --verbose flag for more details. SyntaxError: Invalid regular expression: 요런 오류가 났다. 참나 난 시키는대로 잘 했는데 뭔 이런 오류가 나는거여.. 구글링으로 찾았다 방법~ 참조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58120990/how-to-resolve-the-error-on-react-native-start 프로젝트 폴더 내 \node_modules\metro-config\src\defaults 루트를 따라가면 blacklist.js 파일이 있다. 해당 파일을 켜서 내용을 바꿔준다. var sharedBlacklist = [ /node_modules[\/\\]react[\/\\]dist[\/\\].*/ , /website\/node_modules\/.*/ , /heapCapture\/bundle\.js/ , /.*\/__tests__\/.*/ ]; 고민 해결!

React Native Android - configuring project ':app' failed to find Build Tools revision 오류

리액트 네이티브로 앱만들기 해보는중 나는 오류 한번 없이 된적이 없다.. ADV 실행하고 cmd창에서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 react-native start 하고 새로운 cmd창을 켜서 프로젝트 폴더로 이동한 후 react-native run-android 쳤는데!!! configuring project ':app' failed to find Build Tools revision 오류가 났다. sdk루트도 ANDROID-HOME 으로 설정해주었는데ㅠ 폭풍같은 구글링. 고치는 방법이 있었다. 참조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27620262/sdk-location-not-found-define-location-with-sdk-dir-in-the-local-properties-fil 프로젝트 폴더 내 android 폴더에 local.properties 파일을 만든다. (난 vs code로 폴더 열어서 생성했다.) 파일에 sdk.dir =C\:\\Users\\Jjung\\AppData\\Local\\Android\\Sdk 입력 후 저장하고 cmd창에 다시 react-native run-android 하니까 됐다~~!! 재밌다 헤헤

[스압] STS + Gradle + jsp + webjar(jQuery,BootStrap) + 내가만든 css파일..

아. 이놈의 그래들 나를 몇주째 괴롭히는지 모르겠다.. maven만 깔짝 해본 왕초보인 나에게는 세팅부터가 너무너무 어렵다. 원래 만들어져있던 회사 프로젝트.. 웹쪽 세팅이 전혀 안되어있어서 그걸 하게되었는데 만든지 좀 되어서 그런지 버전도 안맞고.. 할튼 그거 맞춰보려고 2주 낭비하고 그냥 포기하고 새로 만들기로 결심했다. 근데 그것마저도 너무 어렵고.. ㅜㅜ 세팅하다가 암걸려 돌아가실거같다. 지금까지 한거 까먹기 전에 대충 적어보자면 1. 프로젝트 생성 Java Starter Project -> Gradle, War, Java8 선택하고 Next -> 내가 뭘 필요로 할지 모르니 일단 필요해보이는 Spring Boot Actuator, Spring Boot DevTool, Spring Data JPA, Spring Web 선택해서 프로젝트 생성! 2. build.gradle     implementation 'org.apache.tomcat.embed:tomcat-embed-jasper' //jsp     implementation group: 'javax.servlet', name: 'jstl', version: '1.2' //jstl     implementationgroup: 'org.apache.tomcat.embed', name: 'tomcat-embed-jasper', version: '8.5.20' //내장 톰켓에서 jstl 인식하도록 추가       //jquery, bootstrap 컴파일     implementation group: 'org.webjars', name: 'jquery', version: '3.3.1'     implementation group: 'org.webjars', name: 'bootstr...